이경식쌤의 한국사 크로스핏 / Season1. 한국사 기출 문헌 집중 탐구(109)
상태바
이경식쌤의 한국사 크로스핏 / Season1. 한국사 기출 문헌 집중 탐구(109)
  • 이경식
  • 승인 2024.06.28 15: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경식 공경단 학원
 

근현대 주요 문헌 : 개화기 1905 ~ 1906

  
1905

520.

김택영이 단군 조선부터 고려 멸망까지를 서술한 통사

개화기 1905

저자 : 김택영 ( 金澤榮 1850 ~ 1927 ) 조선 말기의 학자. : 창강 (滄江)

저자가 학부 편집국에서 1895, 1899년 역사 교과서 편찬을 주관한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한 「동사집략 (東史輯略) 의 증보판.

한말 지식인에게 널리 읽힘. 한문본 총 11

1 : 단군조선기.

단군의 기록은 황당하여 믿을 수 없다고 함

2 : 조선기.

우리나라를 기자조선부터 개국된 것으로 봄.

삼한 정통설에 의해 마한기 (馬韓紀) 서술.

위만조선, 진한, 변한, 4, 2, 삼국의 발생

3 ~ 4 : 삼국, 가야

5 : 통일신라, 발해

6 ~ 11 : 고려기 (高麗紀).

고려의 역사 상세 서술

(저자는 개성 출신으로 자신을 고려의 후예로 자처함)

모화사관 (慕華史觀 중국을 우러러보는 역사관) 이 보이며 (기자 조선), 일제의 주장인 임나일본부설을 인정하고 있음

당시 일제 문화 침략의 선봉이었던 학부 참여관 누사하라 히로시 (幣原坦) 의 서문이 있음

2 (二府) : 중국 「한서」 의 기록에 B.C 82 한나라 소제 (昭帝) 가 고조선의 옛 땅인 평나, 현도 등의 군을 평주도독부 (平州都督府)로 삼고, 임둔, 낙랑 등의 군을 동부도위부 (東府都尉府) 로 삼았다는 내용

정답

역사집략 (歷史輯略)

저자 소개

 

 

김택영 (金澤榮)

1850 ~ 1927

: 창강 (滄江)

✻ 조선 말기의 학자

✻ 이건창 (강화학파.「당의통략」저자), 황현 (「매천야록」,

「오하기문」,「절명시」저자 ) 과 함께 한말삼재 (韓末三才 한말 3대 문장가) 로 불림

1894 편사국 (編史局) 주사

1895 중추원 서기관

1903 문헌비고 속찬위원

1905 학부 편집위원 → 을사조약 후 중국 망명

✻ 중화민국 정부에 우리나라 독립 지원을 요청하는 진정서를 씀

✻ 주요 저서

「여한구가문초 (麗韓九家文鈔)

(고려 이래의 9명의 문장가의 문장을 선별 수록), 「오호부 (嗚呼賦)(망국의 한을 표현), 「한국역대소사」,「한사경」,「교정삼국사기」

1906

521. 경성일보 (京城日報)

이토 히로부미가 창간한 ❶ 부 기관지

(국권침탈 후 ❷ 부 기관지) 1906 ~1945

간행

< 한성신보 > < 대동신보 (大東新報. 대한제국 시기에 발간된 일본인 신문) > 를 합병시켜 1906.9.1 창간

▸ 주도 : 이토 히로부미

▸ 실무 담당 : 이토 스게타나 (통감부 서기관. 전 아사히 신문 주필)

창간 당시 국한문판, 일문판 → 1907 부터 일문판만 간행

한일합방 후 ❸ 부 기관지

개화기 최대 민족 신문인 < 대한매일신보 > 를 인수하여 < >로 개칭하고 < 경성일보 > 의 자매지로 발행

1930 조선총독부의 영문판 기관지이던 < 서울 프레스 The Seoul Press > 를 병합 → < 일보 > (일본어), < 신보 > (한국어),

< The Press > (영어) 3개 국어 신문을 발행

일제의 침략과 식민지 정책을 선전 해방 후 1945.10.31 폐간

정답

❶ 통감 ❷ 조선총독 ❸ 조선총독 ❹ 매일신보 ❺ 경성

❻ 매일 ❼ Seoul

 

522. 경향신문 (京鄕新聞)

교 순 한글 주간 신문

1906.10.19 창간 ~ 1910.12.30 종간

( 이후 < 잡지 > 로 변경 )

간행 : 프랑스인 신부 안세화 (安世華 Florian Demange), 한국인 신부 김원영

애국계몽 운동의 일환으로 서울에서 발간한

순한글 / 순한문 / 국한문 혼용 주간 신문

한국인 신부 김원영이 취재와 편집을 주도

전국 각처의 신부들이 지방 소식 제공

1910.4.22 184호가 ❹ 법에 의해 발매 금지, 압수됨

1910 국권 피탈 후 폐간 위협 받음

1910.12.30 종간호 제 220호를 내고 제 221호부터 < 잡지 >로 개칭하여 월 2회 발간의 잡지로 변경

신문을 서울 () 백성 뿐 아니라 시골 () 백성에게도 배포하여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다는 의미에서 신문 이름을 경향 (京鄕) 이라 함

정답

❶ 천주 ❷ 경향 ❸ 순한글 ❹ 신문지 ❺ 경향

 

523. 신보 (新報)

일진회가 발행한 친일 신문 1906 ~ 1910

간행 : 일진회. 초대 사장 : 이용구 (일진회 회장)

친일 선전 내용으로 이를 강하게 비판하던 < 신보 > 와 논전을 벌임

1907.7.19 친일 논조에 분노한 군중들이 습격 → 사옥, 인쇄 시설 파괴

1910 7월까지 발행되었으며 국권 피탈 무렵에 폐간

정답

❶ 국민 (國民) ❷ 대한매일
 

<strong>이경식</strong><br>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br>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br>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br>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
이경식
현, 공경단 학원 공시 한국사 강사
전, EBS 중학프리미엄 한국사 강사
에듀윌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강사
학습문의) kyongshik@naver.com

 

 

 

 

  

 

 

 
xxx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하시겠습니까? 법률저널과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기사 후원은 무통장 입금으로도 가능합니다”
농협 / 355-0064-0023-33 / (주)법률저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공고&채용속보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