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진 메가공무원학원 국어 대표 강사
1. 설화: 민족 집단 안에서 공동의 의식을 바탕으로 발생된 이야기 형태의 구비 문학으로, 구전성, 서사성, 허구성, 산문성, 민중성을 가지고 있다.
㉠ 신화: 특별한 주인공이 신성한 업적을 성취하는 초월적 이야기, 민족 중심 전승, 숭고미 중심
㉡ 전설: 구체적 증거물과 결합되어, 진실이라고 믿어지는 이야기, 지역 중심 전승, 비장미 중심
㉢ 민담: 일상적 인물이 주인공으로 흥미와 교훈 위주로 전개되는 이야기, 민족과 지역을 초월하여 전 세계적으로 전승되며 골계미 중심
작품명 |
내용 |
특징 |
출전 |
단군 신화★ |
고조선 건국 신화 |
천강(적강) |
삼국유사, 제왕운기,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
해모수 신화 |
동명왕 신화의 연계 신화 |
천강(적강) |
삼국유사, 삼국사기, 동명왕편 |
금와 신화 |
동명왕 신화의 연계 신화 |
천강(적강) |
삼국유사, 삼국사기, 동명왕편 |
동명왕 신화★ |
(=주몽 설화) 고구려 건국 신화 |
난생 |
삼국유사, 삼국사기, 동국이상국집 |
김수로왕 신화 |
가야 건국 신화 |
<구지가> 배경 설화, 난생 |
삼국유사 |
박혁거세 신화 |
신라 건국 신화 |
난생 |
삼국유사, 삼국사기, 제왕운기 |
연오랑세오녀 |
일본으로 건너간 부부의 이야기 |
일월(日月) 숭배 |
삼국유사, 필원잡기 |
조신몽 설화★ |
인생무상의 불교 설화 |
<구운몽> 배경 설화, 몽유, 몽자의 효시 |
삼국유사 |
∙그 외 전설과 민담: 거타지, 아기장수 우투리, 장자못, 지귀, 망부석, 도미의 처, 달팽이 각시, 사복불언, 온달과 평강 공주, 이야기 주머니, 경문대왕 |
2. 패관 문학: 떠돌던 설화를 채록자(패관)가 창의력을 더하여 쓴 문학
3. 가전체 문학: 사물을 의인화하여 그 가계, 생애, 성품, 공과를 기록하는 전기 형식, 열전(역사서에서 인물의 일대기 중심으로 서술된 부분)의 양식
작품명 |
작가 |
소재 |
|
작품명 |
작가 |
소재 |
화왕계★ |
설총 |
꽃 |
|
공방전★ |
임춘 |
돈 |
화사 |
임제 |
꽃 |
|
청강사자현부전 |
이규보 |
거북 |
수성지 |
임제 |
마음 |
|
죽부인전 |
이곡 |
대나무 |
천군연의 |
정태제 |
마음 |
|
저생전 |
이첨 |
종이 |
국순전★ |
임춘 |
술(누룩) |
|
정시자전 |
석식영암 |
지팡이 |
국선생전 |
이규보 |
술(누룩) |
|
|
|
|
4. 고소설
- 조선 전기의 작품
작품명 |
작가 |
내용 |
금오신화★ |
김시습 |
∙최초의 한문 소설(집)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음.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우리나라 사람의 이야기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수록 |
화사 |
임제 |
국가와 군신을 꽃에 비유하여 국가의 흥망성쇠를 그린 의인체 소설 |
수성지 |
임제 |
세상에 대한 불만과 현실에 대한 저주를 의인화 |
원생몽유록 |
임제 |
생육신(남효온)의 처지를 슬퍼하여 쓴 몽유록계 소설 |
- 조선 후기의 작품
유형 |
작품명 |
작가 |
내용 |
|
사회 소설 |
홍길동전★ |
허균 |
∙최초의 국문 소설, 사회 소설, 영웅 소설 ∙적서 차별에 대한 비판 의식, 이상 사회의 건설 |
|
전우치전 |
미상 |
<홍길동전>의 아류작 |
||
서화담전 |
미상 |
<홍길동전>의 아류작 |
||
염정 소설 |
운영전★ |
미상 |
궁녀 운영과 김 진사의 비극적 사랑=<수성궁몽유록> |
|
구운몽★ |
김만중 |
∙몽자류 소설 ∙유교, 불교, 도교 사상 융합 ∙조신몽의 영향을 받음. |
||
옥련몽 옥루몽 |
남영로 남익훈 |
<구운몽>의 아류작 |
||
옥단춘전 숙향전 숙영낭자전 |
미상 |
<춘향전>의 아류작 |
||
가정 소설 |
사씨남정기★ |
김만중 |
∙처첩 간의 갈등을 소설화한 최초의 작품 ∙장희빈을 중전으로 책봉한 것을 풍자함. |
|
창선감의록 |
조성기 |
중국 명나라의 병부 상서인 화공의 세 부인과 그 자녀들 사이의 갈등을 다룬 소설 |
||
군담 소설 |
창 작 |
유충렬전★ |
미상 |
영웅 일대기 구조를 가장 잘 보인 작품 |
조웅전 |
미상 |
중국을 무대로 영웅의 무용담을 그린 소설들 |
||
소대성전 |
미상 |
|||
장국진전 |
미상 |
|||
신유복전 |
미상 |
조선 명종 때가 배경인 작품 |
||
역 사 |
임진록 |
미상 |
‘임진왜란’,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 |
|
곽재우전 |
미상 |
|||
김덕령전 |
미상 |
|||
박씨전★ |
미상 |
|||
임경업전 |
미상 |
풍자 소설 |
배비장전 |
미상 |
배비장과 기생 애랑의 이야기를 통해 양반의 위선을 풍자 |
이춘풍전 |
미상 |
무력한 남편과 거세된 양반층을 풍자 |
|
연암 소설 |
호질★ |
박지원 |
도학자의 위선적인 생활을 풍자 |
양반전★ |
박지원 |
양반 사회의 허례허식 및 그 부패를 폭로 |
|
허생전★ |
박지원 |
허생의 상행위를 통한 이용후생의 실학사상 반영 |
|
광문자전 |
박지원 |
기만과 교만에 찬 양반 생활의 풍자 |
|
예덕선생전 |
박지원 |
직업 차별의 타파와 천인의 성실성에 대한 예찬 |
|
민옹전 |
박지원 |
무위도식하는 유생에 대한 풍자와 미신 타파 |
|
마장전 |
박지원 |
유생들의 위선적인 교우를 풍자 |
|
김신선전 |
박지원 |
신선 사상의 허무맹랑함을 풍자 |
|
열녀함양박씨전 |
박지원 |
개가 금지에 대한 반대 |
|
판소리계 소설 |
별주부전★ =토끼전 |
미상 |
<구토 설화>+<용원 설화(인도 설화)> → <토끼전>=<별주부전> → <토의 간(신)> |
흥부전 |
미상 |
<방이 설화>+<박타는 처녀(몽고 설화)> → <흥부전> → <연의 각(신)> |
|
심청전★ |
미상 |
<연권녀 설화(효녀 지은 설화)>+<인신 공희 설화(거타지 설화)> → <심청전> → <강상련(신)> |
|
춘향전★ |
미상 |
<도미의 처>+<암행어사 설화>+<관탈민녀 설화> → <춘향전> → <옥중화(신)> |
|
옹고집전 |
미상 |
장자못 설화 |
6. 민속극: 가장한 배우가 대화와 몸짓으로 사건을 표현하는 서민 중심의 전승 형태
- 탈춤(가면극): 지역에 따라 여러 명칭으로 불림. 봉산 탈춤, 고성 오광대놀이
- 꼭두각시놀음(=박첨지, 홍동지놀음): 남사당패에 의한 우리나라 유일의 인형극
7. 수필
① 국문 수필
∙≪계축일기≫(어느 궁녀): 광해군의 인목대비 서궁 유폐 사건=≪서궁록≫
∙≪산성일기≫(어느 궁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있었던 사건
∙≪의유당일기≫(의유당): 영조 때 명승고적을 답사(<동명일기> 수록)
∙≪화성일기≫(이의평): 정조 때 능행시 왕대비의 회갑연
∙≪연행록≫(김창업), ≪무오연행록≫(서유문)-청에 대한 견문
∙≪조침문≫(유씨 부인)-바늘을 부러뜨린 심회
∙≪한중록≫(혜경궁 홍씨): 혜경궁 홍씨의 자전적 회고록
∙<규중칠우쟁론기>: 작자 미상, 바느질 도구의 쟁공을 쓴 의인체 수필
② 한문 수필
㉠ 삼국 시대:<화왕계>(설총): 꽃을 의인화한 의인체 수필
㉡ 고려 시대: <슬견설>, <경설>, <이옥설>(이규보), <차마설>(이곡)
㉢ 조선 후기: ≪순오지≫(홍만종), ≪서포만필≫(국어 존중론, 김만중), ≪열하일기≫(박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