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활용과정’ 첫 교육
[법률저널=이상연 기자] 인공지능을 정책 현장에 적용하는 실습형 교육이 신설된다.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원장 김채환, 이하 국가인재원)은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 진천 본원에서 4급 이하 공무원 30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에 대한 이해와 활용 과정’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과정은 인공지능 도입으로 변화될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윤리적 문제를 고찰하며, 인공지능을 적용한 정책을 설계하는 실습 교과 등으로 운영된다.
단순 이론 학습을 넘어 ‘실전적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둔 점이 특징이다.
이번 교육은 ▲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 ▲인공지능과 윤리 ▲인공지능 챗봇(ChatGPT)을 활용한 정책실습 ▲디지털 정보(데이터) 역량 향상 실습 등으로 진행한다.
먼저 김종욱 동아대 교수가 ‘인공지능이 가져올 미래’를 주제로 인공지능의 기술과 활용 분야를 소개하고, 미래사회에 미칠 영향을 탐구한다.
변순용 서울교대 교수는 ‘인공지능과 윤리’ 시간을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의 잠재적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윤리적 이슈를 집중 조명한다.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인공지능 챗봇(ChatGPT) 활용 정책실습이다.

윤우제 국가인재원 교수는 국가인재원에서 개발한 ‘생성형 AI 정책활용 안내서’를 바탕으로 교육생들이 직접 정책 단계별로 인공지능 챗봇(ChatGPT)을 적용하여 실습해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인공지능 활용 교육 교과과정(커리큘럼)을 바탕으로 교육생들이 직접 ‘정책 단계별 인공지능 챗봇(ChatGPT)’을 활용하며 배우는 시간을 마련한다.
또한 ‘가상 모형(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가상 정보(디지털 데이터) 역량 향상 실습’을 통해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의 연동 방식을 경험하고 공무원의 디지털 이해력을 높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을 방문해 인공지능 얼굴합성, 6세대(6G) 이동통신 기술, 자율주행 기능 등 최첨단 미래 기술을 직접 체험하는 시간도 갖는다.
김채환 국가인재원장은 “이번 교육은 세계 최고의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이라는 국정목표와 직결된다”며 “공무원들이 인공지능이 가져올 변화를 이해하고 실제 정책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국가인재원은 실습 위주의 인공지능 교육을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