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훈 아모르이그잼 한국사
[ 가로열쇠 ]
4. 고려 후기 성균대사성, 정당문학, 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문신.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명으로 정몽주와 정도전의 스승이기도 하다.
5. 1575년(선조 8)에 율곡 이이가 제왕의 학문 내용을 정리하여 선조에게 바친 책.
7. 토지를 파악하는 데 토지의 면적과 수확량을 동시에 표시한 계량법이다.
9. 1402년(태종 2)에 이회가 제작한 전국 지도. 현존하진 않으나,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의 한반도 부분이 이 지도를 참조하여 만들어졌을 것이라 추정한다.
10. 태음력에 태양력의 원리를 적용하여 24절기의 시각과 하루의 시각을 정밀하게 계산하여 만든 역법. 우리나라에서는 효종 대인 1653년에 도입되어 1896년 태양력이 도입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 세로열쇠 ]
1. 경남 합천군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 신라의 수도인 경주로 향하는 관문 역할을 하였다. 642년(선덕여왕 11)에는 이 성에서 김춘추의 사위와 딸이 백제군에 살해당하였다.
2. 1577년(선조 10) 율곡 이이가 학문을 시작하는 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편찬한 책.
3. 밝고 은은한 녹색에 가까운 빛깔. 청자(靑瓷)의 빛깔을 높여 부를 때 사용한다.
4. 벼농사에서, 못자리에서 모를 어느 정도 키운 다음에 그 모를 본논으로 옮겨 심는 재배방법. 모내기법이라고도 한다.
6. 여말선초 시기의 정치가이자 학자인 정도전이 쓴 성리학 입문서.
8. 죽은 뒤 큰 죄가 드러나면 시신을 꺼내어 극형을 추시하던 일. 연산군 때 김종직, 한명회 등이 이 형을 받았다.
